문제 설명
정수로 이루어진 배열 numbers가 있습니다. 배열 의 각 원소들에 대해 자신보다 뒤에 있는 숫자 중에서 자신보다 크면서 가장 가까이 있는 수를 뒷 큰수라고 합니다.
정수 배열 number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모든 원소에 대한 뒷 큰수들을 차례로 담은 배열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 단, 뒷 큰수가 존재하지 않는 원소는 -1을 담습니다.
제한사항
- 4 ≤ numbers의 길이 ≤ 1,000,000
- 1 ≤ numbers[i] ≤ 1,000,000
numbers / result
[2, 3, 3, 5] | [3, 5, 5, -1] |
[9, 1, 5, 3, 6, 2] | [-1, 5, 6, 6, -1, -1] |
입출력 예 설명
입출력 예 #1
2의 뒷 큰수는 3입니다. 첫 번째 3의 뒷 큰수는 5입니다. 두 번째 3 또한 마찬가지입니다. 5는 뒷 큰수가 없으므로 -1입니다. 위 수들을 차례대로 배열에 담으면 [3, 5, 5, -1]이 됩니다.
입출력 예 #2
9는 뒷 큰수가 없으므로 -1입니다. 1의 뒷 큰수는 5이며, 5와 3의 뒷 큰수는 6입니다. 6과 2는 뒷 큰수가 없으므로 -1입니다. 위 수들을 차례대로 배열에 담으면 [-1, 5, 6, 6, -1, -1]이 됩니다.
나의 풀이
1. 처음에는 이중 for문을 통해서 풀었으나 시간 초과가 나타났다.
2. 뒤에서부터 탐색을 시작하는데, 이때 뒤에 있는 큰 수를 넣을 수 있는 스택을 만든다.
3. 이때 본인보다 큰 수가 나타날 때까지 스택에 있는 수를 pop()를 진행하며, 본인보다 큰 수가 있을 경우 큰 수를 다시 넣고, 본인의 숫자를 넣는다.
4. 만일 본인의 숫자가 스택의 모든 수를 pop()해도 큰 수가 나타나지 않으면 -1을 배열에 담고 스택에 본인을 담는다.
해당 과정을 통해서 뒤에 있는 모든 숫자를 비교하지 않아도 되고, 뒤에 부터 스택에는 해당 위치에서 "자신의 수보다 앞선 인덱스에서 큰 값을 발견하지 못했던 수들"이 들어가 있게 된다.
from collections import deque
def solution(numbers):
numbers_length = len(numbers)
answer = [-1 for _ in range(numbers_length)]
standard = [numbers[-1]]
for idx in range(numbers_length-2, -1, -1):
while standard:
standard_number = standard.pop()
if numbers[idx] < standard_number:
answer[idx] = standard_number
standard += [standard_number, numbers[idx]]
break
if not standard:
standard.append(numbers[idx])
return answer
'computer science > 알고리즘 문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프로그래머스 "당구 연습" (1) | 2023.07.06 |
---|---|
프로그래머스 "숫자 변환하기" (0) | 2023.07.05 |
프로그래머스 "전력망을 둘로 나누기" (0) | 2023.07.03 |
프로그래머스 "귤 고르기" (0) | 2023.07.01 |
프로그래머스 "리코쳇 로봇" (0) | 2023.06.25 |